반응형
정의
사용방법
- AWS 사이트 로그인 후 ctl + x를 누르고 Certificate Manger를 들어간다
- 인증서를 새롭게 발급 받고싶으면 인증서 프로비저닝(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체를 제공 하는 것)을 사설 인증서를 가져오려면 사설 인증기관을 선택하면되는데 본인은 새롭게 만들어 볼 것이다.
- 인증서 요청 페이지가 나오면 인증서 요청을하고
-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는 곳이나오는데 route 53이나 cafe24같은 도메인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해 본인의 서버를 연결한 후 그 도메인을 이용해 작성한다.
- 이렇게 흔하게 볼 수 있는 www.을 입력하거나 이용자가 다른방식으로 접근해도 방식을 잡을 수 있게 *.을 붙여주고 확인을 누르면
- 이렇게 검증방법 선택이 나올것인데 본인의 도메인이 맞는지 검증을 위해 DNS와 이메일 검증이 가능하다 조금더 편한방법은DNS 검증이니 선택후 다음
- 태그는 구분가능하게 하는 양식인데 지금은 필요없으니 검토로 가면
- 지금까지 넣었던 정보를 검토해 볼 수 있게 나온다 꼼꼼히 확인 후 확인을 누르면
- 검증 화면이 나오는데 도메인들을 클릭해보면
- 이렇게 도메인 정보와 레코드를 생성한다는 화면이나오는데 레코드를 생성하면 DNS인증을 AWS Route 53을 통해 받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.
- Route 53에서 받아오는 도메인 확인 여부에대해 요청을 받아오는데 성공이 뜨지않아도 완료를 누르고 기다리면된다 완료될때까지
- ctl + x 를 누르고 Route 53에 들어가서
- 대시보드화면이 뜰텐데 도메인이 없다면 년 12달러로 구매하고 (따로설명안해도쉬움) DNS관리에 호스팅 영역을 클릭해서 들어가면
- 호스팅 영역이라고 설정해놓은 도메인이 나오는데 클릭해서 들어가면
- 레코드중 certifiate에서 도메인 설정한 레코드들이 나오는데 유형들을 선택해 로드밸런싱한 그룹들을 선택하면
elastic load balancer 생성
- ec2 왼쪽하단 내비게이션에 로드 밸런서설정에 들어가서
- LoadBalancer생성을 클릭해서 들어가면
- 4개정도 카테고리가 나오는데 web Application용으로 HTTP HTTPS 로드 밸런서를 선택한다
- 기본구성에서 원하는 이름으로 구분하기 쉽게 적은 후 리스너(연결 요청을 확인하여 프로토콜과 포트를 감지하는 리스너) 를 추가해서 https를 선택한다.
- 하단에 가용영역이 보이는데 http용 2개 https용 2개의 VPC 가용영역을 최소 각 파트당 하나씩 총 2개는 선택해야 안정적으로 작동할수있기에 전부 선택해버렸다.
- 다음을 누르면 ACM인증서를 선택할수 있는데 자동으로 찾아준 인증서를 클릭하고 넘어간다
- 보안그룹의 경우 ec2를 생성할때 했던 보안그룹을 선택하거나 새롭게 생성하고
- 대상그룹을 선택하는데 기본 대상을 선택하기에 이름을 정하고 상태검사영역을 index.html(index.jsp)로 정한 후 다음을누른다
- 가동중인 인스턴스를 선택해서 등록을 시키고
- 정보를 검토하고 생성을 하면 로드 밸런스 까지 생성이된다.
반응형
'AWS > 웹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프로젝트 AWS EC2이용해서 배포하기(완) (3) | 2021.07.15 |
---|---|
Ubuntu 에서 톰켓과 아파치 연결 (2) | 2021.07.15 |
Ubuntu Spring 웹 서비스 환경 구축하기 (0) | 2021.07.15 |
AWS EC2 가상 웹서버 윈도우에서 접속하는법 (0) | 2021.07.15 |
AWS EC2 인스턴스 생성 (0) | 2021.05.30 |
Uploaded by Notion2Tistory v1.1.0